콘텐츠목차

「행수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970
한자 杏樹詩
영어음역 Haengsusi
영어의미역 A Poem on Gingko Tre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203-2[심곡로 16-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순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한시
작가 한규복(韓圭復)
창작연도/발표연도 1871년(고종 8)연표보기

[정의]

1871년(고종 8) 한규복이 조광조가 심은 은행나무를 소재로 지은 칠언율시의 한시.

[개설]

「행수시(杏樹詩)」는 한규복이 지은 「행수가(杏樹歌)」와 함께 심곡서원 강당 시판(詩板)에 새겨진 작품이다.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1482~1519]가 심었다는 은행나무를 소재로 향사(享祀)를 받드는 중정일(中丁日)에 지었다.

수지구 심곡동에는 정암 조광조의 유적으로 심곡서원정암 선생 묘역, 은행나무가 있다. 서원과 묘역은 정암 선생의 사후에 용인 지역 유림들이 발의하여 조성한 것이다.

「행수시」의 소재가 된 은행나무는 조광조가 직접 심었다는 점에서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 은행나무는 조광조의 효성과 천인(天仁)을 상징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에 많은 유학자들이 은행나무를 소재로 작품을 지은 이유도 그 때문이다.

[내용]

은행나무에 깃든 정암 선생의 효성과 천인(天仁)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유자(儒者)들을 은연중 일깨우고 있다. 또한 나무의 건재함을 통해 정암 선생의 도학이 후학들에게도 지속되기를 갈구하고 있다.

원심행로기경춘 (院深杏老幾經春: 심곡서원의 은행나무 몇 해나 되었던가)

상유선생수택신 (尙有先生手澤新: 아직도 선생의 손때가 남아 새로워라)

풍불정시사효양 (風不定時思孝養: 바람 자지 않아도 효양을 생각하였고)

우지유처견천인 (雨之濡處見天仁: 비에 젖은 곳에서도 천성의 어짊을 보았네)

경공차지재배수 (敬恭此地栽培樹: 공경스러운 이곳에 나무를 심어 두고)

서계오유애석인 (胥戒吾儒愛惜人: 우리 선비들 경계하며 사람을 아끼셨네)

습례장단금역고 (習禮莊壇今亦古: 예를 익히는 장엄한 제단 예나제나 같고)

중정이팔최양진 (中丁二八最良辰: 이월 팔일 중정이라 가장 좋은 날이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