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C04000201 |
---|---|
영어음역 | Baegamjanggwa Myeongmaegeul Ieoon Baegam Sundae |
영어의미역 | Baegam Sundae which Keeping the Tradition of Baegamjang Market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백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순석 |
순대는 함경도와 평안도처럼 추운 지방에서 즐기던 음식이다. 한겨울 추위를 이겨내자면 영양식이 필요했고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 맛을 낸 순대가 영양 보충식이었다. 요즘은 사계절 언제나 시장 골목부터 대형 유통점 어디에서나 쉽게 먹을 수 있다.
순대는 대표적인 서민층의 먹을거리 가운데 하나이다. 지역에 따라 만드는 방법과 맛이 달라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순대만큼 전국적으로 분포하면서 그 지역의 특수성까지 살린 식품은 흔치 않다.
용인시의 대표적인 특산음식으로 알려진 백암순대는 백암장과 무관하지 않다. 예전에는 백암장하면 ‘쇠전’이 떠올랐지만, 지금은 ‘백암순대’가 그 명성을 대신한다. “백암장에 가면 순대와 순대국밥이 있다.”라는 말이 생길 정도이다. 주민들의 말을 종합하면, 백암장이 번창하던 1960~70년대에는 도축한 고기를 파는 정육점도 덩달아 잘 되었다.
또한 백암은 전국 최대 돼지 사육 농가였으며, 도축장이 가까이 있어서 정육점은 돼지 내장을 쉽게 싸게 살 수 있었다. 백암장을 이용하는 장꾼이나 주민들에게 순대, 순대국밥은 싼 가격으로 허기와 고단함을 달래주는 별미로 인식되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풍성식당
백암순대는 50년 전 쯤 ‘풍성옥’을 운영하던 이억조(여, 1909~1996) 씨가 백암장이 설 때 순대와 국밥을 만들어 팔던 것이 시초였다.
이씨는 함경도 출신이었기 순대를 즐겨 만들어 먹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손쉽게 백암순대를 개발할 수 있었던 것이다. 백암순대는 호박과 부추·숙주·두부·콩나물 등 야채를 풍성하게 다져 넣어 만든다. 따라서 돼지고기의 느끼한 맛이 없고, 오히려 담백하다. 식용비닐로 제조된 외피에 잡채로 속을 꽉 채운 시중의 순대와는 구별된다. 돼지를 도축한 후 버려지는 내장을 싸게 사서 직접 재배한 야채를 듬뿍 넣기 때문에 가격 면에서나 맛에 있어서도 타지역의 순대는 경쟁이 되지 않는다. 백암순대가 백암장에서 벗어나 전국의 브랜드로 번창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여건 때문이다.
풍성옥에서 백암장날에만 한시적으로 먹을 수 있었던 순대와 국밥은 장꾼들의 입소문과 각종 언론매체의 홍보로 점차 백암에 소재한 식당의 특별식으로 정착되었다. 그리고 용인의 대표적인 식품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