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3005 |
---|---|
한자 | 李殷秀家屋 |
영어음역 | Lee Eunsu Gaok |
영어의미역 | House of Lee Eunsu |
분야 |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정연학 |
성격 | 전통가옥 |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 |
소유자 | 이은수 |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에 있는 전통 가옥.
[위치]
이은수 가옥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맹리에 위치하는데, 맹리는 옛 죽산 고을의 3대 길지 중의 한 곳이다. 이 마을 입구에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인 지석묘가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오래 된 주거지임을 알 수 있다. 마을의 주거지는 건지산(乾芝山)을 주산으로 삼고 수정산을 조산으로 삼았다. 지석묘에서 조금 위로 올라가면 이은수 가옥이 있다.
[변천]
이은수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로 이루어져 있는데, 안채는 현대식으로 개조하였으며 주방과 거실, 방 4개를 만들었다. 그런데 예전과 달리 부엌 자리에 안방을, 안방 자리에 주방을 만들었고, 마루의 폭을 줄인 대신에 건넌방을 넓게 만들었다. 건넌방에는 벽장문을 만들었다.
[형태]
이은수 가옥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ㄱ’자형이며, 대문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사랑채, 우측에는 행랑채가 있다. 안채는 부엌-안방-마루-건넌방 순으로 배치되어 있고, 행랑채는 건넌방-부엌-광-방-외양간-뒷간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은수 가옥의 원래 주인은 자손들이 많아 행랑채에도 방을 만들었다. 현재 이 방들은 광으로 사용하고 있다. 집의 벽면은 흙담과 돌담이다. 사랑방은 두 칸이고, 방 안에는 벽장이 있다.
사랑방에는 쌍미닫이문을 달았고, 쪽문 쪽으로 툇마루를 달았다. 앞마당 한쪽에는 뒷간이 있다. 뒷간의 공간은 절반은 광으로 절반은 뒷간으로 사용하도록 나누어져 있다. 뒷간 절반에는 멍석과 오줌장군 등을 놓을 수 있도록 턱을 대었다.
[현황]
이은수 가옥은 조선시대 유교사상이 잘 반영된 집이다. 사랑채를 찾는 외부 손님들은 쪽문을 통해 사랑채로 들어갈 수 있게 만들었고, 대문에서 안채가 보이지 않도록 이중적인 장치를 해 두었다.
대문으로 들어가면 행랑채 벽면이 맞부딪혀 안채가 하나도 보이지 않으며, 사랑채와 행랑채 사이 통로 앞에도 흙벽을 만들어 안채가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흙벽의 폭은 200㎝ 정도였으나 50년 전에 허물었다고 한다. 그 대신 안마당 가운데에 화단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