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업기술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서 장어를 잡는 방식. 장어는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지역의 도랑 사이에 주로 서식한다. 밀물과 함께 바다로부터 들어온 장어는 도랑의 플랑크톤을 먹기 위해 도랑 깊숙이 숨어드는데, 똘맥이는 밀물이 들어오면 도랑 입구에 미리 묻어둔 그물을 들어 올려 도랑 입구를 막는 방법이다. 다음 썰물이 되어 도랑물이 빠지면서 장어도 도랑 입구 쪽으로 나오게 되어 자...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가축을 수탁 사육해 주고 대가로 해당 동물의 새끼를 받는 풍속. 배메기는 가축의 새끼를 가져다가 어미가 될 때까지 길러 주고 그 대가를 해당 가축의 새끼로 받는 특이한 관습이자 풍속이다. 소 배메기가 가장 대표적이었지만 염소, 닭, 토끼도 배메기를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소작 농사를 지어 수확된 벼를 나누는 제도’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논산 지역에서 이런...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서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고기를 잡는 방법. 어덕매기는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이는 자연을 이용한 고기잡이로 전통적인 ‘어살[漁箭]’ 어법을 내수면 어법으로 변용한 것이다. 어살이란 물고기를 잡는 장치로, 고기가 들도록 물이 드나드는 곳에 싸리·참대·장나무 등을 둘러 꽂아 둔 울타리를 일컫는다. 금강 하구에 속한 강경읍 주변에서는 예전부터 물이 드나드는...
생업도구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마른 풀이나 곡식을 긁어모으는 데 쓰는 농기구. 갈퀴는 논산 지역 방언으로 갈키라고도 한다. 여기서 갈키는 이중모음 ‘ㅟ’에서 ‘ㅜ’가 탈락하여 갈키가 된 것이다. 갈퀴는 대나무를 재료로 만드는데, 높이 140~160㎝ 정도이고, 부챗살 모양의 머리와 긴 자루로 되어 있다. 갈퀴를 만들 때는 대나무를 너비 1~2㎝ 정도로 쪼갠 후 불(등잔, 아궁이 불 등)로...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밀의 알곡을 떨어내는 데 쓰던 농기구. 개상은 밀농사에서 탈곡기가 일반화되기 이전인 1970년대까지 쓰였던 농기구이다. 굵은 통나무를 옆으로 뉘어 고정시켜 쓰거나 나무 도구통(절구통)을 눕혀서 썼는데, 논산 지역에서는 통상적으로 도구통을 사용했다. 개상은 길이 1m 이상 되는 굵고 둥근 통나무 네댓 개를 가로로 대어 엮고 다리 네 개를 박아 만든 것이다. 이...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아궁이의 재를 긁거나 알곡을 넓게 펼칠 때 쓰는 농기구. 고무래에는 부엌의 재를 치우는 데 쓰는 부엌고무래와 수확한 벼, 보리, 콩 등 알곡을 넓게 펴거나 알곡들을 끌어 모으는 데 사용하는 곡식용 고무래가 있는데 모두 농가의 필수 농기구였다. 고무래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인류가 농경을 시작하고 정착 생활을 하면서 쓰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불을...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벼의 낟알을 훑어내는 농기구. 벼훑이란 두 개의 나뭇가지의 한 끝을 동여매서 집게 비슷하게 만들어, 이 틈에 벼 이삭을 끼고 훑는 농기구를 말한다. 이를 일부 충청남도에서는 홀태, 훌태(홍성, 청양, 보령, 부여, 서천, 금산)라고 하고, 또 다른 지역에서는 그네, 그내(서산, 당진, 아산, 천안)라고도 한다. 반면 쇠로 되어서 벼의 낟알을 훑어 내는 농기구...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곡물의 겉을 싸고 있는 깍지를 두드려 알곡을 빼내는 데 쓰는 농기구. 먼 옛날 보리의 겉껍질을 벗기거나 콩깍지로부터 콩알을 분리할 때 작은 막대기로 두들기던 것이 발전하여 도리깨가 생겨났을 것이다. 탈곡기가 일반화되기 이전까지는 농가에서 직접 도리깨를 만들어 사용했으나 탈곡기가 일반화되고 농촌의 작물 재배 경향이 벼농사와 특용작물로 재편되면서 보리, 콩, 팥...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똥을 거름으로 쓰기 위해 옮길 때 쓰는 농기구. 주로 봄에 변소에서 삭힌 똥을 바가지로 퍼 똥장군에 담고, 짚으로 된 뚜껑을 닫아 똥지게로 옮긴다. 논이나 밭에 가서 뚜껑을 열고 작은 바가지로 퍼서 뿌린다. 논산 지역에서는 똥장군을 앵병, 얭병이라고도 부른다. 현재는 똥을 거름으로 쓰지 않기 때문에 똥장군을 사용하지 않는다. 똥장군은 흙으로 구운 옹기단지로서...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알곡이나 농산물을 담아 두는 농기구. 처음엔 볏짚 등을 엮어 만들었으며, 이후에는 닥나무 껍질을 섞어서 만들거나 종이로 만들기도 했다. 차츰 모양도 예쁘게 만들어 썼으나 값싸고 다양한 플라스틱 그릇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차츰 자취를 감추어 요즘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통기성이 좋아 곡식 등을 보관하기에는 좋지만, 요즘에는 경제성이 없어 메꾸리를 만드는 사람이...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농기구 등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공구. 모루는 대장간(칭냥간)에서 사용하는 공구로, 단조(鍛造) 작업에서 단조 재료를 올려놓고 망치로 때려서 가공할 때 쓴다. 논산 지역에서는 모루를 머릿독이라고도 부른다. ‘독’은 ‘돌’의 논산 방언이다. 모루는 길고 두껍고 넓은 쇠로 만드는데, 윗부분은 판판하다. 모루 위에 불에 달군 낫, 칼, 호미, 자구, 괭이, 창,...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논농사에 사용하는 농기구. 살포는 선비나 지주, 자식에게 농사일을 물려준 자영농 노인들이 가지고 다니며 간단한 논농사 일을 돌볼 수 있도록 만든 농기구이다. 지역에 따라 종가래장치라 부르기도 한다. 옛날 양반들은 직접 노동하는 것을 천시하여 신발을 벗고 논에 들어가서 일을 할 수 없다 하였다. 따라서 여름에도 버선에 흰 고무신을 신고 다녔는데 맨손으로 다니기...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농산물이나 흙, 자갈 등을 옮길 때 사용하는 농기구. 1970년대 이전에는 나무 테에 볏짚으로 만든 삼태기를 썼지만 만들기도 까다롭고 품이 많이 들었다. 최근에는 자동차 폐타이어를 얇게 떼어내 굵은 철사 테에 대고 꿰매는 형식으로 만든 삼태기를 철물점이나 농기구 상회에서 판매하고 있다. 삼태기는 커다란 쓰레받기와 비슷한데, 직육면체의 양철통을 대각선으로 잘라...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달걀을 받기 위해 농가의 닭장 안에 짚으로 만들어 둔 보관용 도구. 통구리라는 말은 통가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다. 통가리란 쑥대나 싸리, 뜸 등을 새끼로 엮어 땅에 둥글게 둘러치고 그 안에 감자나 고구마 따위의 곡식을 채워 쌓은 더미를 말한다. 알통구리를 닭의 알을 담아 두는 저장 도구라는 의미에서 알통가리라고도 부른다. 또한 달기(닭) 둥가리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농작물이나 거름을 운반하기 위해 만든 농기구. 어림이는 삼태기의 일종으로 주로 고구마·감자·토란 등과 같이 크기가 있는 농작물을 담아 가까운 거리로 옮길 때 지게에 짊어지거나 또는 우마차에 실을 때 사용하던 농업용 작업 도구이다. 거름을 담아서 지게에 지거나 논밭에 흩뿌릴 때도 사용하였다. 논산 지역에서는 보통 싸리삼태미라고 불렀다. 1970년대까지 농가에서...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서 민물고기를 잡기 위해 사용하던 도구. 얼개미는 본래 곡식이나 가루 등을 치는 큰 체로서 곡물을 선별할 때 쓰이는 도구이다. 논산 지역 외에도 여러 지역에서 오래 전부터 냇가에서 작은 민물고기를 잡을 때 사용하였다. 실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얼개미를 이용하여 냇가에 있는 고기를 떠내는 방식은 가장 원시적이면서 손쉬운 어로 방식의 하나였다. 강경...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서 낚싯줄에 여러 개의 바늘을 달아 고기를 잡기 위해 만든 어업용 도구. 주낙은 땅주낙·뜬주낙·선주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땅주낙은 물속의 땅 가까이에서 생식하는 고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뜬주낙은 표층이나 중층에 있는 어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인데, 이 경우에는 낚시가 수면 아래 적당한 깊이에 있어야 한다. 선주낙은 낚싯줄을 수직으로 늘어뜨렸다가...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곡식이나 눈 따위를 한곳으로 밀어 모으기 위해 만든 도구. 죽가래는 판자를 구하기 어려웠던 시절 도끼·자귀 등을 이용하여 커다란 통나무를 깎아 가래처럼 만들어 썼던 농기구이다.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던 농기구는 아니었으며, 대농가에서나 가끔 볼 수 있는 도구였다. 죽가래는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농가에서 농한기 때 큰 통나무를 삽 모양으로 깎아 만들어 썼...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가을에 추수한 벼를 임시로 보관하기 위해 만든 도구. 가을 추수 기간이 되면 갑자기 많은 양의 벼가 한꺼번에 수확되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하다. 예전에는 벼를 보관하기 위해 창고 대용으로 임시 보관 시설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통가리이다. 통가리는 가을 추수에서 이듬해 설까지 일시적으로 벼를 보관하기 위하여 볏짚과 가마니·새끼를 이...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 강경포구를 드나들던 황토로 물들인 돛을 단 배. 강경포구는 조선 후기 내륙의 대표적인 3대 장시의 하나로, 서해안의 소금과 해물이 강경포구를 통해 충청도 내륙 전역으로 유통되었다. 조선 후기의 유일한 운송 수단인 황포돛배는 면포에 황톳물을 들인 기폭을 달고 끊임없이 금강을 오르내렸다. 금강에 토사가 쌓이고, 금강 하구가 막혀 운항이 중단되었지만 과거...
생활도구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담배를 담는 도구. 담배통이란 담배설대 아래에 맞추어 담배를 담는 통이다. 담배통 둥근 구멍에 담배를 넣고 불을 붙이면서 숨을 빨아들여 사용한다. 담배를 다 피우고 남은 재는 뒤집어 바닥에 두들겨 털고 새꽤기로 쑤시며 청소를 한다. 담배를 피우는 제구인 담뱃대는 담배통, 설대, 물부리로 이루어진 것이 보통이다. 이중 담배를 담는 담배통을 논산 지역에서는 대꼬...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물통을 나를 때 사용하는 지게. 물지게는 예부터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 농촌 지역에서 많은 양의 물을 효과적으로 나르기 위하여 만들어 썼던 생활도구이다. 물동이는 여자만 이고 다녔지만 물지게는 남녀 구분 없이 졌다. 물동이에 담긴 물을 머리에 이고 다니다가 물지게가 나와 공동우물이나 마을 공동수도에서 물을 길어다 먹는 데 요긴하게 쓰였다. 그러나 농촌에도 19...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시신을 장지로 운반하기 위해 만든 의례용 도구. 상여는 사람의 시체를 실어서 장지까지 나르는 도구로, 마을마다 마련해 두기도 하고 초상이 나면 개인을 위해 만들기도 한다. 상여를 메는 사람을 상여꾼·상두꾼·영구꾼·영여꾼·운상꾼·이정·향도라 하며, 대개 천민이 메는 것이 보편적이었으나 후에는 동네 청년들이나 망인의 친구들이 메기도 한다. 상여꾼들은 상여를 메고...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이쑤시개로 쓰거나 담배통을 쑤시는 줄기. 띠, 갈대, 억새, 짚 등의 껍질을 벗긴 가는 줄기인 새꽤기는 길이가 보통 30㎝ 정도이며, 얇고 길다. 논산 지역에서는 새꽤기를 호얘기, 호출기라고도 한다. 주로 새꽤기는 벼를 타작할 때 나오는 것을 모아놨다가 비나 풀비를 매서 사용하거나 짚단에서 빼서 쓴다....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사용하는 대나무로 만든 둥근 그릇. 1970년대까지도 소쿠리가 많이 쓰였지만 이후 값싸고 편리한 플라스틱 그릇이 다양하게 나오면서 요즘은 자취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주민들에 따르면 1970년대에 쌀 한 되면 큰 소쿠리 하나에 작은 것 하나 정도를 끼워 살 수 있었다고 한다. 대나무로 만든 그릇으로 위에서 보면 둥근 형태이고 옆에서 보면 위가 열린 반달형이...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굵은 가루를 걸러 내기 위해 만든 도구. 어떤 조직이나 단체에서 우수한 사람들만 따로 선발하는 일을 얼게미의 기능에 빗대어 “얼게미로 친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굵은 가루를 걸러 내는 얼게미에 비해 콩고물처럼 가는 가루를 내리는 도구를 곤체라고 한다. 1970년대까지는 얼게미를 만들 때 송판으로 쳇바퀴를 만들었으나 요즘은 플라스틱으로 쳇바퀴를 만들고 형태...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곡물을 찧기 위해 만든 도구. 논산 지역에서는 절구통을 도구통 또는 도고통이라 하며 도구대(절굿공이)와 함께 짝을 이루어 사용한다. 도구통과 도구대를 사용하여 일하는 것을 도구질이라 하며, 둘이서 함께 도구통을 가운데 두고 마주 서서 일하는 것을 쌍도구질이라고 불렀다. 처음에는 만들기 쉬운 나무절구통이 많았지만 차츰 견고성이 탁월한 돌절구통으로 변화해 갔다....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논에 물을 퍼 올리기 위해 만든 도구. 타래박은 물보다 논이 높은 위치에 있을 때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사용한다. 타래박으로 퍼 올릴 수 있는 물의 양이 적고 또 논에 물을 채우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넓은 논에 물을 대기는 힘들다. 따라서 못자리 등 작은 규모의 논에 물을 보충할 때 주로 이용하는데, 물과 논의 높이 차가 대략 60㎝ 이하여야...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나무의 속을 파내서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만든 그릇. 1960년~1970년까지만 해도 각 가정에서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함박을 만들었다. 그러나 함박보다 가볍고 손쉽게 쓸 수 있는 다양한 모양의 스테인리스 그릇과 플라스틱 그릇들이 생산되면서 상대적으로 무겁고 투박한 함박은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이후 경제성이 없으니 당연히 만들지도 않게 되어서 지금은 농...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노티리 2구 두레 조직에서 사용하던 농기. 노티리 1구와 노티리 2구에는 각 마을별로 두레가 조직되어 벼농사를 마을 공동으로 협업하였다. 각 두레 조직에는 조직의 깃발이라 할 수 있는 농기(農旗)가 있었다. 노티리 1구의 농기에는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 쓰여 있었고, 노티리 2구의 농기에는 용이 그려져 있고 뒷면에 ‘신농유업(神農遺業...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 두레 조직에서 사용하던 농기. 농기는 두레 조직을 갖고 있던 거의 모든 마을에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논산시 노성면 일대에서는 병사리와 노티리의 농기가 현존하는 것들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병사리 두레는 인근에서 큰 두레로 유명했다. 병사리 두레에서는 큰 기와 영기(令旗), 두 개가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현재는 그 소재를 알 수 없다. 두레가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