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장터 3.1만세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386
한자 咸陽-3.1萬歲運動
영어공식명칭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f 1919 in Hamyang Market Site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함양로 1095[용평리 83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양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19년 3월 28일연표보기 - 함양장터 3.1만세운동 발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19년 3월 31일 - 안의장터 3.1만세운동 발생
발생|시작 장소 함양장터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함양로 1095[용평리 831]지도보기
성격 독립운동
관련 인물/단체 정순길|윤보현|정순귀|노경식|김한익|윤영하|하승현

[정의]

1919년 3월 28일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 함양장터에서 일본제국주의 지배에 항거하여 일어난 만세운동.

[역사적 배경]

1918년 제1차 대전 종전 후에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민족자결의 원칙으로 조선의 독립운동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또한, 고종 황제의 갑작스러운 붕어는 민심을 크게 동요치게 하였다. 전국적인 단위로 만세운동이 벌어진 배경이 되었고 경상남도 함양군도 만세운동에 가세하였다. 경상남도 함양군의 유지인 정순길(鄭淳吉)을 비롯하여 윤보현(尹普鉉)·정순귀(鄭淳貴)·노경식(盧璟植) 등은 1919년 3월 28일 함양읍 장날에 거사를 하기로 약속하고 동지를 규합에 힘을 썼다.

[경과]

1919년 3월 28일 함양읍 장날에 거사를 하기로 약속한 정순길·윤보현·정순귀·노경식 등은 규합된 동지들과 함께 당일 장터에 모여 있는 군중들에게 태극기를 나눠 주었다. 함양장터 3.1만세운동이 전개되었고, 장터에 모여 있던 군중들의 호응에 놀란 일본 경찰은 주동자들을 연행하고 군중들을 강제 해산시켰다.

김한익(金漢益)은 통분을 참지 못하고 다시 의거를 결심하고, 1919년 4월 2일 동지들과 만세운동을 주도함과 동시에 일본 헌병 분견소에 잡혀 있던 인사들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윤영하(尹榮夏)하승현(河升鉉)은 분견소 정문으로 돌진하였고, 일본 헌병들은 일제 사격으로 대응하였다. 하승현은 일본 헌병의 일제 사격 발포로 즉사하였고 윤영하는 총상을 당하여 중상을 입었다. 하승현의 아버지 하재연과 숙부 하재익(河在翼)도 모두 총탄에 쓰러졌다.

[결과]

함양장터 3.1만세운동을 주도하였던 김한익·하재익은 건국훈장 애족장을, 윤영하·하재연은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의의와 평가]

3.1운동 직후 함양군의 인사들 대부분이 일본 경찰들에게 잡혀가 옥고를 치르거나 고문을 당한 기록이 있다. 하지만 지역 독립지사들 중 아직까지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한 이들이 많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