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함양문화대전 > 함양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언어·문학) > 언어
-
경상남도 함양군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과 그 체계. 함양군의 언어 속에는 함양지역민들의 역사와 문화는 물론이고 함양군의 환경·기후 등 자연적인 것과, 삶의 방식까지 녹아들어 있다. 따라서 함양군의 언어를 통해 함양사람들의 의식과 생활 태도, 사람들과의 관계, 정서, 마음 씀씀이까지 엿볼 수가 있다. 함양군은 남서쪽으로 전라도와, 동북쪽으로 경상남도 거...
-
경상남도 함양지역의 언어 중에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 조사는 크게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누어진다. 격조사에는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보격조사, 관형격조사, 서술격조사, 호격조사, 부사격조사 등이 있다. 문법적인 면에서는 중앙어인 표준어와 지역 방언에 큰 차이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상남도 함양지역에서 쓰는 격조사 또한 표...
-
경상남도 함양군 주민들에게 습관적으로 굳어진 형태로 쓰이는 비유적인 표현. 관용구란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만든 구 혹은 절이 하나의 의미·통사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3의 의미를 가진 관습적인 표현이다. 관용구는 두루 사용되기 때문에 보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의미를 짧은 표현 안에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함축적이고 간결하다. 또한 직설적이거나 사실적이기...
-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어떤 행위나 말을 하지 못하도록 하려는 의도로 형성된 표현. 금기어는 어떤 행위나 말을 하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것은 신성한 것에 대한 접근을 ‘금한다[禁]’는 의미와 부정한 것을 ‘꺼린다[忌]’는 의미가 합성된 복합적인 관념이 포함되어 있다. 금기는 세계에 대한 인간 의식의 반영이기 때문에 인류의 보편적인 문화 현상이고, 내용적...
-
경상남도 함양군 사람들이 일정한 현상을 보고 앞으로 좋은 결과나 복이 올 것임을 예견해주는 말. 인간에게 이로움과 복, 영광을 주며, 희망과 힘을 갖게 하는 전조를 길조라 한다. 길조어는 오랜 세월 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주로 통용되는 길조어를 살펴보면 함양군 사람들의 삶과 정신과 문화가 담겨 있기 마련이다. 경상남도 함양군의 길조어도...
-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전해오는 농사 및 경작과 관련된 말. 농경어휘라는 것은 경상남도 함양군에 사는 사람들이 논밭을 경작하여 농사를 짓거나 가축을 칠 때 사용하던 특징적인 말을 이른다. 경상남도 함양군은 소백산맥의 주변 산지로 둘러싸인 분지 지역으로 농사일에 종사하는 사람이 많으며 쌀·보리 등을 비롯한 농산물과 고추·마늘을 비롯한 채소류 외에 과일도 많이 생산하고 있다....
-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삶의 지혜가 담긴 격언. 속담은 옛날부터 사람들의 입으로 전해 온 짤막한 언어 표현으로서 조상들의 삶의 경험에서 우러난 지혜와 진리, 교훈뿐만 아니라 세상에 대한 풍자와 비판 등을 담고 있다. 속담은 국가나 민족, 혹은 지역의 사고방식이나 생활 풍습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사회 문화적 가치관을 형성...
-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다른 것에 빗대어 질문하여 알아맞히게 하는 말놀이. 수수께끼는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비유적으로 물으면 상대방이 답을 맞히는 대결로, 쌍방이 존재하는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물음과 응답의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흥미로우면서도 재치 있는 물음의 형식으로, 상징적인 특징들 속에 정답을 살짝 숨기거나 서로 모순된 설명으로 상대방이 답을 찾기...
-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두 문장을 이어 한 문장으로 만들 때 쓰는 어미의 형태. 연결어미는 크게 대등적 연결어미, 종속적 연결어미로 나누어진다. 중앙어에서 대등적 연결어미로는 대등 나열의 ‘-고’와 ‘-으며’, 대조의 ‘-지만’-과 ‘-으나’, 선택의 ‘-든지’, 전환이나 반복의 ‘-다가’를 꼽을 수 있다. 종속적 연결어미로는 이유나 원인의 ‘-아/어서’·‘-으니까’, 조건...
-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인 음소와 운소.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로서 음소와 운소를 함께 이르는 말이다. 분절 음운에 해당하는 음소는 크게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지고, 비분절 음운에 해당하는 운소에는 소리의 고저·장단·강세·성조 등이 있다. 한글의 음소 체계를 살펴보면 자음 19개와 모음 21개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