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1244 |
---|---|
한자 | 將軍大佐說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강청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남기민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2년 11월 30일 - 「장군대좌설」, 『함양군사』에 수록 |
---|---|
관련 지명 | 도촌마을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강청리 |
성격 | 설화|민담|풍수담|교훈담 |
주요 등장 인물 | 오낭원|오씨 아들|풍수쟁이 |
모티프 유형 | 인심 좋은 부자 |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강청리에 풍수지리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개설]
도촌마을 오낭원이 인심이 좋아 손님을 후하게 대접하였는데, 한 손님이 청암산 상투 바위 위에 묘를 쓰라고 하여 그대로 하였으나 장군이 나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2년 함양군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함양군사』 3권 374쪽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도촌마을에 오낭원이란 사람이 살았는데 덕망이 높고 인심이 좋아 집에 과객과 식객이 끊이질 않았다. 그중에 3년간이나 묵었음에도 고맙다는 말 한마디 없이 떠나려는 사람이 있어 오씨의 아들이 그의 무례함을 꾸짖었다. 그러자 식객은 오낭원이 죽으면 청암산 상투바위 위쪽에 묘를 쓰도록 하였다. 또한 하관은 오후 3시에 하는데 쇠 우산을 쓰고 가는 사람이 나타나면 하관식을 하라고 알려주었다. 그러면 청암산 앞에 철마가 달릴 때 후손 중에 장군이 날 것이라 하였다. 어느 해 오낭원이 세상을 떠나자, 식객의 말대로 묘를 쓰기로 하였다. 사람들은 가을에 비가 내리고 쇠 우산을 쓴 사람이 지나가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었다. 하지만 신기하게도 비가 오고 쇠 우산을 거꾸로 받치고 가는 여인이 있어서 그때 하관식을 하였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차가 다니지만 그 집안에 장군은 나지 않았다.
[모티프 분석]
「장군대좌설」의 주요 모티프는 ‘인심 좋은 부자’이다. 오낭원은 덕망도 높고 인심도 좋아 넉넉한 가산(家産)을 이용해 나그네들에게 선행을 베풀었다. 이로 인해 풍수를 볼 줄 아는 나그네가 묫자리를 잡아주게 된다. 풍수를 아는 사람이 잡아준 묫자리대로 묘를 쓰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풍수담’으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후손 중에 장군이 날 것이라는 말은 끝내 맞지 않았으며, 그에 따라 풍수지리설의 덧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스스로 행하는 노력만이 부귀를 가져올 수 있고 진정한 가치를 가진다는 교훈을 주는 ‘교훈담’으로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