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척 잉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1228
한자 越尺-
이칭/별칭 뇌계의 잉어와 성종 임금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대덕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남기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4년 12월 15일 - 「월척 잉어」, 『우리고장의 전설』에 수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2년 11월 30일 - 「월척 잉어」, 『함양군사』에 수록
관련 지명 도덕바위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대덕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인물담
주요 등장 인물 유호인|성종 임금
모티프 유형 임금의 잠행|임금을 꾸짖는 신하|임금님께 귀한 물건 진상하기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대덕리유호인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개설]

뇌계(㵢谿) 유호인(兪好仁)이 강에서 물고기를 잡아 임금님께 진상하러 가서 청렴함을 인정받게 된 이야기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4년 함양문화원에서 간행한 『우리고장의 전설』의 68쪽에 「뇌계의 잉어와 성종 임금」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고, 2012년 함양군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함양군사』 3권 343쪽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에 있는 도덕바위에서 유호인이 낚시를 하다가 2자가량 되는 큰 잉어를 낚아 올렸다. 유호인은 잉어를 욕심내는 것이 사욕이라 생각하고 임금께 진상하기 위해 서울로 향하였다. 보름 만에 서울에 도착하고 보니, 이미 저녁때라 입궁할 수가 없어 주막에 여장(旅裝)을 풀고 서울 구경을 하였다. 통행금지를 알리는 소리가 들려 서둘러 주막집을 찾았으나 찾을 수가 없었다. 이때 자신을 ‘북촌 사는 이 교리’라고 하는 사람이 말을 걸었는데, 사실 잠행을 나온 성종 임금이었다. 성종은 그에게 자신의 집에 가서 머물기를 청하였고 선생은 이에 응하였다. 집에 가서 술상을 받았는데 진귀하기가 이를 데 없었다. 유호인은 교리(校理)에 불과한 사람이 걸맞지 않은 재물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호되게 꾸짖었다. 임금은 유호인의 높은 충성심에 감동하였고 항상 가까이 하며 붕우의 정의(情義)를 변치 않았다.

[모티프 분석]

「월척 잉어」의 주요 모티프는 ‘임금님께 귀한 물건 진상하기’, ‘임금의 잠행’, ‘임금을 꾸짖는 신하’이다. 역사적 실존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인물담이기도 하다. 유호인이라는 경상남도 함양군의 명사(名士)가 등장하여 자신이 낚아 올린 귀한 잉어를 임금님께 진상하러 가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서울에서 마침 변복하고 잠행을 나온 성종 임금과 마주치게 되고, 임금의 정체를 모르고 임금을 꾸짖는다. 하지만 그 꾸짖음이 나라를 위한 충성심에서 비롯한 것임을 아는 임금에게 높은 신망을 얻게 되는 이야기로 끝맺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