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1218 |
---|---|
이칭/별칭 | 짓구내기,질꼬냉이,길군악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남기민 |
채록 시기/일시 | 2011년 7월 이후 - 함양 들소리 보존회 전수자 이점수[여, 80세]로 부터 「질굿내기」 채록 |
---|---|
채록지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당본리 죽당마을 |
성격 | 민요 |
토리 | 메나리토리 |
출현음 | 메나리토리의 ‘미솔라도레’가 주를 이룸 |
박자 구조 | 3소박 3박자|3소박 6박자 |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고로쇠물을 마시러 용추계곡을 오가면서 불렀다는 민요.
[개설]
「질굿내기」는 「짓구내기」, 「길군악」으로도 불린다.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에 있는 용추폭포가 가사에 등장하며, 용자정(龍自亭) 앞에 길군악 비석이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13년 김기현이 엮고, 함양군에서 발행한 『함양의 들소리』[2013]에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2011년 7월부터 함양군 민속예술보존회의 의뢰를 받아 현지답사를 통해 조사한 것으로, 함양 들소리 보존회 전수자 이점수[여, 80세]로부터 채록하였다. 2012년 발행한 『함양군사』에도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사설이 바뀌는 앞부분과 ‘얼씨구’로 시작하는 후렴구로 구성된다. 유절양식(有節樣式)으로 소리를 잇대어 불러 나간다. 리듬에 생기가 있고, 선율의 변화가 다양하여 기존의 민요와 차이가 있다. 메나리토리의 ‘미솔라도레’가 주 출현음이지만 메나리토리에서 벗어난 음과 여러 선율이 출현하기도 한다. 특히 ‘도’ ‘레’의 음을 심하게 떨어 주거나 ‘미’음을 퇴성으로 표현하는 것은 가창자 개인의 음악적 표현으로 보인다.
[내용]
오르랑 내리랑 잔기침 소리는/ 자다가 들어도 우리 임 소리라/ 얼시구가 갔으면 갔지 제가 설마나 갈쏘냐/
용추폭포야 네 잘 있거라/ 명년 춘삼월 또다시 만나자/ 얼시구가 갔으면 갔지 제가 설마나 갈쏘냐/
임의 생각을 안 하려 해도/ 저달이 밝으니 저절로 나노라/ 얼시구가 갔으면 갔지 제가 설마 갈쏘냐/(중략)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곡우에 고로쇠물을 마시러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을 오가면서 부르기도 하였다고 전한다.
[현황]
『증편한국구비문학대계』에 채록되어 있는 상황으로 보았을 때, 함양군 전체에 널리 퍼져 있는 민요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용추폭포’가 있는 안의면에서 주로 채록되었고, 지곡면과 서하면에서도 채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질굿내기」는 리듬에 생기가 있고, 선율의 변화가 다양하여 기존의 민요와 구별되는 음악적 특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