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423 |
---|---|
한자 | 咸陽龍山寺址石造如來立像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상림3길 32[운림리 289] |
시대 |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김연진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7년 1월 30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함양용산사지석조여래입상,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
현 소장처 | 보림사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상림3길 32[운림리 289]![]() |
출토|발견지 | 옛 용산사 터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 |
성격 | 불상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 2.4m[높이] |
문화재 지정 번호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용산사 터에서 출토된 고려 시대 석조불상.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교산리 용산사 터 근처에서 발견되어 민간에서 미륵불로 신앙되어 오다 1990년 초 함양읍 도시 계획 도로 건설로 인해 현재의 보림사 대웅전으로 이안하였다. 얼굴은 마멸되었으나 전체적으로 잘 남아 있고, 독특한 수인 등의 이유로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18호로 지정,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함양용산사지석조여래입상은 높이 2.4m로 불상과 대좌를 하나의 돌에 조각하였다.
민머리에 낮은 육계(肉髻)[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있다. 얼굴은 마멸이 심해 이목구비를 알아보기가 어렵다. 신체에 비해 큰 타원형의 얼굴을 하고 있으며 목에는 삼도가 선각으로 새겨져 있다.
큰 얼굴에 비해 어깨는 좁고 손은 크게 표현되어 신체 비례가 맞지 않다. 양어깨를 덮은 통견식 옷은 어깨에서 흘러내린 옷자락이 가슴 밑으로 늘어져 있으며, 배 아래 완만한 U자형 곡선을 그리며 발목까지 내려온다. 왼쪽 어깨에서 내려온 옷자락이 가슴 부분 U자형 옷 안에 있어 가장 먼저 걸친 것을 알 수 있다. 오른쪽 어깨에서 내려온 옷자락은 밖에서 속으로 넘어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의상은 다른 불상과 차이를 보이고 있어 매우 특이하다.
왼손은 가슴 앞으로 들어 올려 손가락을 약간 구부렸고, 오른손은 오른 허벅지 앞으로 내린 채 중지와 약지를 구부려 옷자락을 잡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였다. 대의 아래로 군의 자락이 드러나 있고, 그 아래 정면을 향해 가지런히 놓은 발이 표현되어 있다.
대좌는 불신과 한 돌로 조성하였고, 광배는 따로 제작되지 않았다. 측면에도 옷 주름이 보이나 뒷면은 조각되지 않았다.
특이한 통견식 착의법이나 신체에 비해 크게 새겨 강조한 손 등이 함양용산사지석조여래입상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좁은 어깨에 비해 지나치게 큰 머리, 신체에 비해 크게 조각된 손과 투박한 발의 표현, 자연스럽지 못하고 형식적인 옷 주름 등으로 보아 고려 시대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