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231 |
---|---|
한자 | 咸陽市外- |
영어공식명칭 | Hamyang Bus Terminal |
이칭/별칭 | 함양공용버스터미널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한들로 159[용평리 680-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민정 |
준공 시기/일시 | 1972년 1월 13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7년 - 함양시외버스터미널 증축 |
최초 설립지 | 함양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한들로 159[용평리 680-1] |
현 소재지 | 함양시외버스터미널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한들로 159[용평리 680-1]![]() |
성격 | 버스 터미널 |
면적 | 2,714㎡ |
전화 | 1688-7494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에 있는 시외버스터미널.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경상남도, 서울, 부산 등지를 연결하는 시외버스 노선 확충을 위해 건립되었다.
1972년 1월 13일에 터미널 운영을 시작했으며, 2017년 증축되어 현재에 이른다. 터미널 건립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는 대구와 경상남도 주변 지역을 잇는 교통망을 제공하였으며, 2001년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며 전라북도 및 대전 등 중부권을 연결하는 교통축이 되었다. 2017년 88고속도로 확장으로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개통되자 함양시외버스터미널이 동서 및 남북 교통의 요지로 자리하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함양시외버스터미널은 함양지리산고속에서 운영하고 있는데 총면적 2,714㎡에 한 개 동의 버스 승하차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터미널 건물 내에는 매표소, 매점 1개소, 식당 1개소가 있다.
함양시외버스터미널은 함양공용버스터미널이라고도 한다. 버스 노선은 동서울, 동대전, 남서울[서초동], 안양, 부천, 인천국제공항으로 운행되는데 모두 경상남도 함양군을 거쳐 지리산 백무동까지 연결된다. 또한 남원 경유 전주·수원·안산·인천·대구 노선이 시간대 별로 운행되고 있으며, 남원 경유 순창·담양 노선과 남원 경유 광주 노선은 하루에 1~2회 운행되고 있다. 경상남도 내 노선으로는 부산[직통]·창원·마산행 버스가 시간대 별로 운행되고 있으며, 인근의 안의 경유 거창 노선이 있어 일부 시간대에 진안 및 장계까지 운행된다.
함양시외버스터미널은 함양IC와 인접한 함양읍의 외곽에 자리하고 있다. 함양IC의 동쪽으로 2㎞ 정도의 거리에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교차하는 함양JC가 있어 동서간, 남북간 교통의 요지에 자리하고 있다. 함양시외버스터미널은 함양군보건소·삼성 병원·함양 중앙 상설시장·함양군청·함양교육지원청·창원지방법원 거창지원 함양군법원 등이 자리한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군 내부 도로를 동서로 연결하는 고운로와 남북으로 연결하는 한들로의 교차점에서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