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325
한자 蹄閑驛
영어공식명칭 Jehannyeok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438년연표보기 - 제한역 설치
폐지 시기/일시 1896년연표보기 - 제한역,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따라 폐지
관할 지역 제한역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지도보기

[정의]

조선시대 경상남도 함양군 사근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으로 이어진 역로상에 있었던 역참.

[제정 경위 및 목적]

1438년(세종 20) 4월에 경상남도 함양군과 전라북도 남원시 간 왕래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관련 기록]

제한역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81권, 1438년(세종 20) 4월 9일 기사에서 “경상도 함양에 신설한 역은 ‘제한’이라 일컫고[慶尙道咸陽新驛稱蹄閑]”라고 처음 확인된다. 이후 『신증동국여지승람』 31권 경상도 함양군 역원에는 “제한역은 군 서쪽 15리 지점에 있다[蹄閑驛在郡西十五里]”, 『여지도서』 함양부 역원에는 “제한역은 부의 서쪽 15리에 있다[蹄閑驛在府西十五里]”, 『경상도읍지』 함양군읍지에서는 “군의 서쪽 15리에 있다[蹄閑驛在郡西十五里]”라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영남역지(嶺南驛誌)』 부사례[이하 『영남역지』]에는 “함양 구화제한역은 함양군 남쪽 10리 떨어진 팔령 아래에 있다[咸陽仇火蹄閑驛在咸陽郡南十里八嶺下]”라고 기록되어 있다.

[내용]

제한역은 조선시대 경상우도 사근도의 15개 속역(屬驛) 중 하나이다. 함양군 사근에서 남원시 운봉으로 이어진 노선상의 역참으로, 현재의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 제한마을에 있었다. 『구한말한반도지형도(舊韓末韓半島地形圖)』에는 “대역촌(大驛村)”이라고 기재되었고, 현재 ‘제한역터’라고 일컫는 점에서 알 수 있다.

제한역은 공식적으로 1438년에 신설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고려 말기 문신인 이첨(李詹)의 시에 의하면 1438년 이전부터 팔령 아래에 역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첨의 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등 각종 사료에 기재되어 있으며, “【제한역】운봉(雲峯) 고갯길이 시내 곁에 났는데, 나귀를 편하게 타고 긴 휘파람 한 번 분다. 서쪽 산이 만 길 높다 말하지 말라. 객이 여관에 들어도 석양이 못 되었네[【蹄閑驛】李詹詩 雲峰坂道竝溪傍 往跨征驢一嘯長 無賴西山高萬丈 客來投館未斜陽]”라고 하였다.

1747년에 작성한 『사근도형지안(沙斤道形止案)』에는 역리 91명, 역노 21명, 역비 1명, 일수 2명, 보인 7명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변천]

1438년(세종 20) 사근도의 17개 역 중 하나로 설치되었으며, 1896년(고종 33) 1월 18일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따라 사근도와 함께 사라졌다.

[의의와 평가]

제한역은 조선시대 역로 중 하나인 사근도와 함양군· 남원시 사이의 옛길 복원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