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484 |
---|---|
한자 | 新安里古墳群 |
영어공식명칭 | Ancient Tombs in Sinan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산 50-706 |
시대 | 선사/청동기,선사/철기,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동연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6년 9월 5일~2007년 6월 8일 - 신안리 고분군,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에서 발굴 조사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8년 3월 3일~2008년 5월 13일 - 신안리 고분군,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에서 발굴 조사 |
소재지 | 신안리 고분군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산50-706
![]() |
성격 | 고분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일대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분.
2005년에 우리문화재연구원의 지표조사와 3번국도 4차로 확장공사 때 출토된 삼국시대 석곽 및 도질토기편를 통해 이 일대에 고분군이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후 경남발전연구원역사문화센터에서 2006~2008년까지 2회에 걸쳐 발굴 조사한 결과, 청동기 때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다.
함양 신안리 고분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산50-706번지 일원에 있다. 이곳은 안의에서 마리 쪽으로 3번 국도를 따라가면 용추교차로 근처 오른쪽 산기슭에 있다.
2005년에 우리문화재연구원에서 벌인 함양 이전권역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문화재 지표조사와 2006년에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에서 실시한 안의~마리 간 도로 확·포장공사 구간에 대한 정밀지표조사를 통해 삼국시대의 고분과 조선시대의 분묘 등이 확인되었다. 지표조사의 결과에 따라 2006년 9월 5일~2007년 6월 8일까지 발굴조사와 함께 충적지 구간에 대한 시굴조사가 동시에 이루어졌다. 시굴조사에서 유구가 확인되어 2008년 3월 3일부터 2008년 5월 13일까지 추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고분군 유적 내에서 청동기시대의 무문토기와 삼국시대의 장경호·완·단경호, 고려시대 청자·동곳, 조선시대 백자 등이 출토되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2회에 걸쳐 진행된 발굴조사에서 청동기시대 지석주거지 1동, 석관묘 2기, 구 5기, 수혈 9기, 삼국시대 횡혈식석실묘 3기, 횡구식석관묘 1기, 구 10기, 수혈 67기, 고려시대 분묘 7기, 조선시대부터 근대까지 분묘 10기, 수혈 16기, 주혈군 3기, 송탄유가마 8기가 각각 확인되었다. 현재 유적은 발굴조사가 완료되어 도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신안리 고분군은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일대의 삼국~조선시대의 생활상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송탄유가마는 2차 세계대전 후반 일본에 의해 저질러진 자원 수탈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로서 향후 역사적·교육적으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