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051 |
---|---|
한자 | 悟道峙 |
영어공식명칭 | Odojae Pass |
이칭/별칭 | 오도치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월평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성환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6년 - 건설교통부에서 주관한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 |
---|---|
전구간 | 오도재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구양리~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월평리~함양읍 구룡리![]() |
성격 | 고개 |
높이 | 750m |
경상남도 함양군 마천면 구양리와 함양읍 구룡리 사이를 넘는 고개.
오도재라는 이름과 관련하여 이 길을 오르면 깨달음을 얻게 된다는 전설이 있으며 김종직, 정여창, 유호인, 서산대사, 인오대사 등 많은 유학자와 수행자들이 이 고개를 넘었다고 전해진다.
『영남지도』-함양, 『광여도』-함양, 『1872년지방지도』-함양에는 오도치가 표기되어 있으며 『대동여지도』에는 오도재에 오르는 길목에 오도봉을 표시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함양과 『천령지』-함양에는 “오도재는 군 남쪽 20리[약 7.8㎞] 지점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지리산을 시원하게 조망할 수 있는 ‘조망산’으로 잘 알려진 삼봉산[1,187m]은 남쪽으로 백운산[902.7m]과 금대산[847m]으로 이어지는데 삼봉산 산지의 남쪽은 지리산의 칠선계곡과 백무동의 한신계곡으로 이어진다.
오도재는 삼봉산의 동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고도가 낮아지는 안부에 있다.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구룡리에서 남쪽 방향 마천면 구양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높이는 750m이다. 현재 오도재 정상으로는 1023번지방도가 통과하고 있다. 마치 뱀이 스르륵 지나간 자리 같기도 한 오도재 구간의 이 도로는 사진 찍는 사람들에게 대표적인 야간 차량궤적 촬영지로 알려져 있다. 2006년 건설교통부에서 주관한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에 선정되었다.
오도재 정상에는 지리산제일문이 거대한 성루처럼 서 있고 고개의 남쪽 사면에는 지리산조망공원 휴게소가 조성되어 있다. 함양군 함양읍에서 마천면으로 가는 길은 지리산 칠선계곡과 백무동계곡 오르는 길인데 이 길로 가려면 오도재를 넘어야 한다. 오도재는 옛날 내륙지방 사람들이 지리산 장터목과 벽소령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하였던 고개로 남해와 하동의 물산들이 내륙지방으로 운송되던 육상 교역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