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선생만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717
한자 寒岡先生輓詞
영어공식명칭 Teacher Hangang Mansa
이칭/별칭 「한강 정구 선생을 위한 만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3년 - 「한강선생만사」 저자 손처눌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한강선생만사」 저자 손처눌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84년 - 『모당집』에 「한강선생만사」 수록하여 간행
배경 지역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지도보기
배경 지역 도동서원 -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서원로 1[도동리 35]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배율
작가 손처눌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과 구국 활동을 한 손처눌정구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한시.

[개설]

「한강선생만사(寒岡先生輓詞)」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1592]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한강선생만사」손처눌정구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한시이다.

정구의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이다. 아버지는 정사중(鄭思中)이며, 어머니는 성주이씨(星州李氏) 이환(李煥)의 딸이다. 이황(李滉)[1501~1570]과 조식(曺植)[1501~1572]의 문인이다. 모든 방면의 학문에 정통하였고,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어 많은 예서(禮書)를 편찬하였다. 정구는 말년에 칠곡 사수(泗水)[현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일대]로 이거(移居)하여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대구를 포함한 인근 지역의 유학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대구의 연경서원(硏經書院)·도동서원(道東書院) 등 많은 서원에 제향되었다.

2001년 발행한 『국역 모당선생문집(國譯 慕堂先生文集)』에서는 「한강선생만사」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한강 정구 선생을 위한 만사」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한강선생만사」는 칠언배율(七言排律) 시이며, 28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한강선생만사」 28행은 네 개의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단락은 정구의 학문적 연원과 성정(性情)을 노래하고, 두 번째 단락은 외직에서는 선정을 베풀고 내직에서는 꿋꿋하게 신하의 도리를 다한 모습을 노래하였다. 세 번째 단락은 도학(道學)을 밝히고 후학양성에 힘썼던 정구를 찬양하고, 네 번째 단락은 정구의 죽음을 애통해하며 슬퍼하였다. 아래는 「한강선생만사」의 첫 번째 단락에 해당되는 구절이다.

야악붕퇴조이견(倻岳崩頹兆已見)[가야산 북쪽 모서리 무너지는 조짐 이미 나타나더니]

운망지통국인동(云亡之慟國人同)[선생의 죽음에 슬퍼하는 것은 온 나라 사람 같더라]

종가정적요전락(宗家正嫡遙傳洛)[종가의 바른 적통은 저 멀리 낙수에서 전하여 받았고]

성도원류대계동(聖道源流大啓東)[성인의 도를 원류로 이어 크게 동쪽에 일깨워 주셨네]

신부강상천지위(身負綱常天地位)[몸으로 천지의 바른 위치에서 강상의 도 짊어지셨고]

심능호오성정중(心能好惡性情中)[마음은 성정의 가운데서 좋고 싫음을 명확히 하셨네]

이천불애음시객(伊川不愛吟詩客)[이천처럼 시만 읊고 다니는 나그네 좋아하지 않으셨고]

강절시칭희주옹(康節時稱喜酒翁)[강절처럼 적당히 술 즐기듯 매사 가운데에 거처하셨네]

[하략]

[특징]

「한강선생만사」는 ‘동(東)’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칠언배율 시이며, 시 가운데 ‘동(冬)’ 계열 운자는 인운(隣韻)으로 통운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한강선생만사」정구에 대한 손처눌의 존경과 그리움이 담긴 작품이다. 대구 지역의 유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정구의 죽음을 애도하며 정구의 살아생전의 업적을 노래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