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667
한자 偶吟
영어공식명칭 Accidentally Recite
이칭/별칭 「우연히 읊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3년 - 「우음」 저자 손처눌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우음」 저자 손처눌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84년 - 『모당집』「우음」 수록하여 간행
배경 지역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절구
작가 손처눌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과 구국 활동을 한 손처눌이 우연히 드는 생각을 읊은 한시.

[개설]

「우음(偶吟)」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1592]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 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2001년 발행한 『국역 모당선생문집(國譯 慕堂先生文集)』에서는 「우음」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우연히 읊다」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우음」은 두 수(首)의 칠언절구(七言絕句)이다.

[내용]

「우음」의 첫 번째 수이다.

만사수지소이연(萬事須知所以然)[반드시 모든 일의 이유를 알아야 하지만]

유래궁달계호천(由來窮達係乎天)[궁함과 영달은 본래 하늘에 달린 것이네]

위인미진위인리(爲人未盡爲人理)[사람이 되어 아직 사람의 이치도 다 몰라]

다한무문오십년(多恨無聞五十年)[오십이나 알려짐 없어 무척이나 한스럽네]

「우음」의 두 번째 수이다.

시존시방막지연(時存時放莫知然)[지키다가도 놓아 버리면서도 그런지 모르니]

수파단장대월천(須把端莊對越天)[단정하고 장엄하게 저 하늘 대하듯 해야지]

일점약종명처득(一點若從明處得)[만약 밝은 곳을 따라 한 점으로 통한다면]

건건석척의궁년(乾乾夕惕擬竆年)[종일토록 부지런히 힘써 삼가 세월 마치리라]

[특징]

「우음」은 두 수 모두 ‘선(先)’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칠언절구이다.

[의의와 평가]

「우음」손처눌이 우연히 드는 생각을 읊은 시이다. 첫 번째 수는 학문을 향한 끝없는 갈망이 드러난 시이다. 기구(起句)와 승구(承句)에서는 격물치지(格物致知)와 궁달(窮達)에 얽매이지 않는 자세를 읊었고, 전구(轉句)와 결구(結句)에서는 분위기를 전환하여 학문에 대한 갈망과 노력을 드러내었다. 『논어(論語)』「자한(子罕)」편의 “자왈 후생가외 언지래자지불여금야 사십오십이무문사 사역불주외야[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 구절의 내용을 인용하였다. 학문을 향한 갈망을 겸손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두 번째 수는 손처눌의 학문하는 자세인 ‘구방심(求放心)’, ‘성(誠)’, ‘신(愼)’을 읊은 것이다. 서사원이 ‘일건석척(日乾夕惕) 숙오신흥(夙寤晨興)’ 여덟 글자를 적어서 소액자를 만들어 주었는데, 그 액자를 보면서 드는 생각을 읊은 시인 듯하다. 손처눌의 시 「낙형지이일건석척숙오신흥팔자소액 시이사지(樂兄持貽日乾夕惕夙𤕻晨興八字小額 詩以謝之)」에 그 내용이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