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곽괴헌익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577
한자 輓郭槐軒益甫
영어공식명칭 A Poem Written In Mourning For Kwak-Goeheon's Death
이칭/별칭 「곽괴헌 만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곽명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3년 - 「만곽괴헌익보」 저자 손처눌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만곽괴헌익보」 저자 손처눌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84년 - 『모당집』 간행
배경 지역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율시
작가 손처눌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지역에서 강학 활동과 의병 활동을 한 손처눌곽재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만시.

[개설]

「만곽괴헌익보(輓郭槐軒益甫)」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1592]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조선 후기 의병장이었던 곽재겸의 호는 괴헌(槐軒)이고, 자는 익보(益甫)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1538~1593]을 찾아가 모병과 군량 수집에 많은 방략(方略)을 제시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의병을 이끌고 화왕산성(火旺山城)에 들어가 사촌 동생 곽재우(郭再祐)[1552~1617]와 함께 적을 방어하고 부호군(副護軍)에 임명되었다. 난이 끝나고 향리에서 후진양성에 힘썼다. 대구의 유호서원(柳湖書院)에 제향되었다.

「만곽괴헌익보」의 이칭은 「곽괴헌 만사」이다.

[구성]

「만곽괴헌익보」는 칠언율시(七言律詩) 한 수(首)와 고시(古詩) 한 수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두 수 중 칠언율시의 내용이다.

온온덕량고인난(溫溫德量古人難)[인격과 도량의 온화함은 옛사람도 어려웠는데]

심치망생칠십완(深恥忘生七十完)[망생 몹시 부끄러워하며 일흔 온전히 하였네]

화기이성개성질(和氣怡聲皆性質)[조화로운 기운과 기쁜 목소리 모두 성품이오]

서인충기양심간(恕人忠己揔心肝)[남에게 인자하고 자기에 충실함은 다 본심일세]

청양매타회금령(靑陽每唾懷金令)[젊었을 때는 매양 금을 품은 수령에게 침 뱉고]

백수환참정옥관(白首還慚頂玉官)[나이 들어서는 옥관자 한 벼슬을 부끄러워하였네]

명의여금수화진(命矣如今雖化盡)[명이로구나! 지금은 비록 목숨이 다하였지만]

응서죽백한유관(應書竹帛漢劉寬)[응당 죽백에 한나라의 유관처럼 이름 남겨지리]

나머지 한 수인 고시는 곽재겸서사원의 죽음을 슬퍼한 시이다. 평소 학문적 동지였던 두 벗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슬퍼하는 내용이다.

[특징]

「만곽괴헌익보」는 ‘한(寒)’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칠언율시이다.

[의의와 평가]

「만곽괴헌익보」손처눌곽재겸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하여 지은 만시(輓詩)이다. 곽재겸 평생의 행적을 8행의 한시로 축약하여 노래한 작품이다. 각 행에 곽재겸의 인품을 노래하였는데, 2행의 ‘망생(忘生)’은 ‘망생순욕(忘生循欲)’의 준말이며, 중국 송나라 정이(程頤)[1033~1107]의 말을 인용한 것이다. 생(生)의 중함을 잊고 욕망만 따름을 매우 부끄러워한 곽재겸의 성품을 드러내었다. 경련(頸聯)에서는 온화한 성품과 달리 관리에게 강직하게 처신한 모습과 벼슬에 얽매이지 않는 곽재겸의 모습을 그렸다. 실제 곽재겸은 1573년 김우옹(金宇顒)[1540~1603]의 천거로 참봉(參奉)에 임명되었지만 사퇴하였고, 임진왜란이 끝나고 조정에서 누차 벼슬을 하사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8행의 한나라 유관(劉寬)은 온화하고 자상한 성품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유관의 용사(用事)를 활용하여 곽재겸의 인품을 칭송하며 시를 마무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