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미락재낙매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6459
한자 次彌樂齋落梅韻
영어공식명칭 Chaminakjaenakmaeun
이칭/별칭 「미락재의 낙매 시에 차운하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53년 - 「차미락재낙매운」 저자 손처눌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4년 - 「차미락재낙매운」 저자 손처눌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84년 - 『모당집』 간행
배경 지역 청호서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250-11[황금동 산79-4]지도보기
성격 한시|오언배율
작가 손처눌

[정의]

조선 후기 대구 출신 학자인 손처눌이 문병 온 서사원의 시에 차운하여 지은 한시.

[개설]

「차미락재낙매운(次彌樂齋落梅韻)」의 저자 손처눌(孫處訥)[1553~1634]의 본관은 일직(一直)이며, 자는 기도(幾道)이고, 호는 모당(慕堂)이다. 아버지는 손수(孫遂)이고,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 이탄(李坦)의 딸이다. 정구(鄭逑)[1543~1620]의 문인이다. 장현광(張顯光)[1554~1637], 서사원(徐思遠)[1550~1615], 곽재겸(郭再謙)[1547~1615], 류요신(柳堯臣)[1550~1618] 등과 교유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이름이 높았다. 임진왜란(壬辰倭亂)[1592]이 발발하자 대구의 지역 인사들과 공산의진군(公山義陣軍)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서사원과 함께 대구 지역의 강학 활동에 힘써 대구 문풍(文風)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지금의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청호서원(靑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모당집(慕堂集)』이 있다.

‘미락재(彌樂齋)’는 서사원의 자호(自號)이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서사원이 고향으로 돌아와 이천(伊川) 별장을 수리하고 거처하면서 지은 호이다. ‘미락’은 주자(朱子)[1130~1200]가 동안(同安)으로부터 돌아봐 그 도를 더욱 즐긴다는 말에서 취한 것이다. 후에 ‘미(彌)’ 자(字)를 떼어 내고 호를 ‘낙재(樂齋)’라고 하였다.

2001년 발행한 『국역 모당선생문집(國譯 慕堂先生文集)』에서는 「차미락재낙매운」의 제목을 쉬운 우리말로 풀이하여 「미락재의 낙매 시에 차운하다」라고 표기하였다.

[구성]

「차미락재낙매운」은 한 구(句)가 오언(五言)인 12구의 배율(排律) 시이다.

[내용]

반야렴섬우(半夜廉纖雨)[부슬부슬 가랑비 내리는 한밤중에]

쌍선숙홀비(雙仙倐忽飛)[갑작스레 두 신선께서 날아오셨네]

삼계만설적(糝階晩雪積)[섬돌 위 매화는 늦은 눈 쌓인 듯]

연수잔홍비(戀樹殘紅悲)[가지 그리워 시든 홍매에 슬퍼지네]

여복후유문(餘馥嗅猶聞)[매화의 잔향 맡아 봐서 잘 알지만]

이혼초미귀(離魂招未歸)[흩어진 혼은 불러도 거둘 수 없네]

심춘수원객(尋春愁遠客)[봄소식 묻자니 먼 손님 근심하겠고]

석별라음시(惜別懶吟詩)[이별하기 아쉬워 시 읊기 주저하네]

유령위가절(庾嶺違佳節)[유령의 아름다운 계절과 어긋났고]

나부실호기(羅浮失好期)[나부의 좋은 시기는 달아나 버렸네]

일개응일락(一開應一落)[한 번 피면 한 번 떨어져야 하니]

관물차수시(觀物且隨時)[자연의 이치 살피며 때를 따르리라]

[특징]

「차미락재낙매운」은 ‘지(支)’ 계열의 운목이 사용된 오언율시(五言律詩)이다. 2행의 첫 번째 운(韻)인 ‘비(飛)’는 ‘미(微)’ 계열의 운목이지만 인운(隣韻)으로 통운(通韻)한 것이다. 오언절구(五言絕句) 세 수(首), 오언율시 한 수와 오언절구 한 수로 나누어 구분할 수도 있으나, 『모당집』에서도 별도의 구분이 없고, 내용으로 보았을 때도 한 편의 배율시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의의와 평가]

「차미락재낙매운」은 병중에 있었던 손처눌이 문병 온 서사원에게 지어 준 차운시이다. 운(韻)과 내용으로 보았을 때, 서사원의 「추차손기도운(追次孫幾道韻)」과 연결되어 있는 시이다. 「차미낙재락매운」은 바람에 흩날려 땅에 떨어지는 매화의 순간순간을 자신의 감정선을 투영하여 표현한 작품이다. 바람에 흩날리는 매화의 동적인 이미지를 신선이라는 소재와 함께 드러내어 문병 온 벗들에 대한 반가움과 고마움을 표현하였고, 가지에서 시든 매화와 땅에 떨어진 매화의 정적인 이미지를 자신에게 투영하여 애잔함과 서글픔을 표현하였다. 이어서 후각적 이미지인 매화 향을 흩어지는 혼과 대비시켜 시각화하였다. 회화성이 매우 뛰어난 작품이며, 손처눌의 고도의 작시(作詩)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후반 4행에서는 병중에서의 의연함을 드러내며 시를 마무리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