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191 |
---|---|
한자 | 中部內陸高速國道 支線 |
이칭/별칭 | 중부 내륙 지선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현미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현풍 분기점을 기점으로, 북구 금호동 금호 분기점을 종점으로 하는 고속 도로 지선.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은 1977년 경상남도 창원시의 내서 분기점과 대구광역시의 금호 분기점 사이의 구마 고속 도로로 건설되어 달성군을 통과하였다.
구마 고속 도로는 개통된 뒤 1986년 12월에 이현~옥포 간[12.6㎞]과 옥포~내서 간[64.3㎞]이 4차로로 확장되었다. 1996년 주변 지역의 시가화로 고속 도로 기능을 상실한 구마 고속 도로 지선을 폐지, 해제하여 신천대로에 편입하였으며, 1999년 12월에 이현~성서 간[3.4㎞]이 확장되었다. 2001년 8월 25일 내서 분기점~현풍 나들목[현재의 현풍 분기점] 52.4㎞가 고속 국도 45호선 중부내륙고속국도로 편입되었고, 이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노선 번호가 451번으로 부여되면서 나머지 구간은 중부내륙고속국도의 지선 형태로 격하되었다. 2006년 12월 5일에는 옥포 분기점~화원 요금소 구간을 왕복 10차로로 확장 개통하였으며, 2010년 7월 성서~옥포 간[8.72㎞]을 6~8차로로 확장하였다. 2008년 1월 3일 현풍 분기점~마산시 구간은 중부내륙고속국도로, 현풍 분기점~대구광역시 북구 금호 분기점 구간은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으로 분리,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의 차로 연장은 30㎞이며, 4차로의 연장은 15.56㎞, 6차로의 연장은 6.66㎞, 8차로의 연장은 7.78㎞이다. 2011년 12월 31일 기준 달성군을 통과하는 고속 국도 중 달성군 내 통과 연장이 가장 긴 도로가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으로, 총 20.1㎞이다. 달성군을 통과하는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은 모두 8차선으로 도로 폭은 37.8m이다.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간경리까지의 달성군 내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의 연장은 3.24㎞이며, 옥포읍 본리리의 연장은 2.49㎞, 옥포읍 송촌리, 논공읍 본리리~논공읍 남리, 현풍읍 상하리~현풍읍 지리를 통과하는 연장은 14.37㎞이다.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에는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 화원 옥포 나들목[화원 옥포 IC], 옥포읍 송촌리에 달성 나들목[달성 IC], 현풍읍 지리에 현풍 나들목[현풍 IC]이 위치한다. 또한 달성군 옥포읍 본리리에 있는 옥포 분기점[옥포 JC]에서 88 올림픽 고속 국도[광주-대구 고속 국도]가 갈라져 나간다. 현풍읍의 지리에는 중부내륙고속국도의 현풍 분기점[현풍 JC]이 현풍 나들목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데, 여기서 중부내륙고속국도 본선과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이 만난다. 화원 옥포 나들목에서 옥포 분기점까지는 1.82㎞이며, 옥포 분기점에서 달성 나들목까지는 2.93㎞, 달성 나들목에서 현풍 분기점까지는 12.40㎞이다.
달성군 내에 위치하는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의 현풍 분기점부터 옥포 분기점 간의 2014년 교통량을 살펴보면 일 평균 4,642대가 이 구간을 이용한다. 그중 승용차는 2만 7922대이며 버스는 947대, 소형 화물은 6,458대, 중형 화물은 1,983대, 대형 화물은 651대이다. 중부내륙고속국도 지선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방면에서 달성군 구지면·현풍읍·논공읍 방면으로 이동할 때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