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467 |
---|---|
한자 | 喚惺亭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51길 45-17[서변동 88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근대/개항기 |
집필자 | 구본욱 |
건립 시기/일시 | 1582년![]()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869년 - 환성정 중건 |
현 소재지 | 환성정 -
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51길 45-17[서변동 881]![]() |
성격 | 정자 |
양식 | 목조 기와집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1칸 |
소유자 | 인천이씨 태암공 문중 |
관리자 | 인천이씨 서계서원보존회 |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개항기 정자.
환성정(喚惺亭)은 조선 전기 유학자 태암(苔巖) 이주(李輈)[1556~1604]가 건립하였다. 이주는 15세에 수성구 파동에서 무태(無怠) 서변동으로 이사하였다. 이주는 환성정에서 성리학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경(敬)을 강조하였다. 이주는 상채(上蔡) 사량좌(謝良佐)가 제시한 경의 방법인 ‘상성성(常惺惺)’을 중시하고 있는데, 상성성은 환성정이 표방하는 덕(德)이기도 하다.
환성정은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다.
환성정은 1582년(선조 15) 이주가 27세에 금호강 변에 건립하였다. 환성정은 이주가 타계한 후 없어졌다가, 1869년(고종 6) 서계서원(西溪書院)이 철폐된 후 서계서원의 유지(遺址)에 복원되었다.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과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 심석재(心石齋) 송병순(宋秉珣), 시암(是菴) 이직현(李直鉉) 등 항일 독립지사들이 방문하여 시를 남겼다.
환성정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목조 기와집이다. 서쪽 2칸은 방이고 동쪽 1칸은 마루의 누각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