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시집 가던 삼일만에」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1226
이칭/별칭 병든 서방 노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삼봉로 542[죽림리 96-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남기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09년 7월 24일 - 노귀남[여, 79세]으로부터 「시집 가던 삼일만에」 채록
채록지 시목마을회관 -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삼봉로 542[죽림리 96-3]지도보기
성격 민요|부요
기능 구분 비기능요
박자 구조 4음보
가창자/시연자 노귀남[여, 79세]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남편의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것을 한탄하며 불렀다고 전해오는 노래.

[개설]

시집가던 3일 만에 남편이 병들어 죽었는데, 잠이 들어 그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것을 한탄하는 노래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2년 함양군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함양군사』 3권 339쪽에 수록되어 있다. 2009년 7월에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죽림리 시목마을 시목마을회관에서 노귀남[여, 79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시집 가던 삼일만에」는 화자가 시집가는 상황과 시집가던 3일 만에 남편이 병든 상황, 병자를 돌보는 상황, 남편이 임종하는 상황, 남편의 죽음을 슬퍼하는 상황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

시집가네 시집가네 진주 덕산으로 시집가네/

시집가던 삼일 만에 서방님이 병이 들어/

약방에 약을 지어다가 천주단장에다가 모셔 놓고/

앉아 종신 누워 종신 석 달 열흘이 종신이라/

원수녀러 잠이 들어 서방님 가시는 걸 몰랐구나/

이제 처제는 다 틀렸고 아이고지고 울어 보세/

[현황]

동일한 내용이 2014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간행한 『증편한국구비문학대계』 함양편에 「병든 서방 노래」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시집 가던 삼일만에」는 형식이나 내용 면에 있어서 아녀자들이 부른 노래[부요(婦謠)]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시집가던 삼일 만에~’로 시작하는 노래들은 대개 며느리가 시부모의 시하(侍下)에서 힘들게 시집살이를 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하지만 이 노래는 시집간 지 3일 만에 남편이 병들어 약을 짓고 정성으로 수발을 하였지만 원수 같은 잠이 든 사이에 남편이 죽고, 그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것을 한탄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특이한 양상을 보인다.

구연상황에서 처음에는 청중들이 박수를 쳤으나, 노래를 하는 중에는 박수를 그치고 조용히 들어주었다는 것으로 보아 노래의 내용이 다분히 비극적임을 알 수 있다. 한 여성이 시집가 남편의 죽음을 경험하는 것이 노래의 주 내용인데, 남편이 죽은 그 자체도 비극적이지만 앞으로 홀로 남겨진 여성의 삶의 질곡과 애환 또한 비극적이다. 향유층이었던 여성들이 이에 공감하고 함께 안타까워하였기에 지금까지 전승되어 왔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