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452
한자 靈覺寺浮屠群
영어공식명칭 Yeongkagsa budogun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덕유월성로 547-36[상남리 산 9-1]|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산 1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주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86년연표보기 - 영각사 부도군, 용월대선사부도 건립
건립 시기/일시 1959년연표보기 - 영각사 부도군, 해운대선사부도 건립
현 소재지 영각사 부도군 -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덕유월성로 547-36[상남리 산9-1]지도보기|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산 15지도보기
성격 부도
양식 석종형
관련 인물 용월대선사|해운대선사
재질 석재
크기(높이) 98㎝[용월대선사 부도군]|92㎝[해운대선사 부도군]

[정의]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영각사 입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종모양 부도군.

[건립 경위]

영각사는 877년(헌강왕 3) 때 심광대사가 창건한 고찰로, 조선시대 때 폐사된 절을 1449년(세종 31)에 원경 스님이 중창한 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다. 이후 1834년(순조 34)에 화재로 화엄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전소되었으며, 1886년(고종 23) 강용월대사가 중수하였다. 1950년 한국전쟁 때 산신각과 창고만 남기고 전체 건물과 보관되어 있던 화엄경판 등의 불교유물이 모두 소실되었다. 이후 1959년 해운 스님이 복원을 추진하여 지금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위치]

영각사 일주문 옆에 2기[해운대선사부도, 용월대선사부도]가 있고, 약 200m 떨어진 경상남도교육청 덕유학생교육원 입구에 활연당(豁然堂) 스님의 부도를 비롯한 4기가 있다.

[형태]

부도는 승탑이라고도 하며 스님의 사리를 안치하는 탑이다. 통일 신라시대에는 팔각원당형을 기본으로 삼았으며, 고려시대 때는 팔각원당형이 더욱 발전하였고, 조선시대로 오면 단순한 형태의 석종형 부도가 크게 유행하게 된다. 본 영각사 부도는 석종형이다. 2018년 기준, 현재 영각사 일주문 쪽에 용월대선사부도와 해운대선사부도 등 2기가 있다. 그 높이는 각각 98㎝, 92㎝이다. 그리고 200m 정도 떨어진 경상남도교육청 덕유학생교육원 입구에 5기가 있는데 1기는 막돌 3개를 쌓은 모습으로 실제 석종형 부도는 4기이다.

[금석문]

영각사 일주문에 있는 부도에는 각각 용월대선사(龍月大禪師), 해운대선사(海雲大禪師)가 새겨져 있어 부도의 주인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용월대선사부도는 전소되었던 영각사를 1886년(고종 23)에 중수한 강용월대사의 것으로 보이며 해운대선사부도 역시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던 절을 1959년에 복원한 해운 스님의 것이다. 경상남도교육청 덕유학생교육원 입구에 있는 동쪽 첫 번째 부도에는 활연당(豁然堂)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어 승려 활연당의 부도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영각사를 중수, 복원한 스님의 부도로 추정되며 영각사의 역사 및 조선 후기 및 현대 부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